본문 바로가기

노동인문학

[노동인문학] 노동해방, 오래된 꿈_ (3) 꿈의 뿌리를 찾아서

원래 농번기라 한 회 쉬기로 하셨으나, 갑작스레 비가 많이 내려서 다행히 글을 써 주셨습니다^^~ [편집자주]

 

노동해방, 오래된 꿈

 

박장현

평등사회노동교육원 원장

 

3. 꿈의 뿌리를 찾아서

1) 실마리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모든 꿈에는 뿌리가 있다. 얼핏 눈에 띄지 않을 뿐이다. 개꿈조차도 곰곰 따져보면 나름대로 현실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하물며 노동해방의 꿈에 뿌리가 없을까? 짤막한 동영상 한 편을 실마리로 삼아서 노동해방 꿈의 뿌리를 찾아가보자.

 

아르헨티나의 산티아고 그라소(Santiago Grasso) 감독이 2008년에 내놓은 7분짜리 애니메이션이다. 제목은 <고용(El Empleo)>. 지금도 유투브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202151일 현재 8백만 회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12만 개 넘는 좋아요표시, 5천 개 넘는 댓글이 달려 있다.

 

 

이 작품은 2011년 유투브에 올릴 당시 벌써 세계 여러 나라의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102개의 상을 받았을 정도로 높이 평가 받은 작품이다. 2010년 서울 국제만화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도 일반단편 그랑프리 및 일반단편 관객상을 받았다. 2012년 서울인권영화제와 인천인권영화제에 초청받아 상영된 적도 있다.

 

스토리는 매우 단순하다. “한 중년남자가 아침에 일어나서, 직장에 출근하여, 일을 시작한다.” 이것이 전부이다. 대사도 없고 설명도 없다. 약간의 효과음만 삽입되어 있을 뿐이다. 주요장면을 말로 옮겨보면 대충 이렇다.

 

[첫째 장면] 따르릉- 따르릉- 어둠 속에서 자명종 시계가 울린다. 시침과 분침이 715분을 가리키고 있다. 더듬더듬 손을 뻗어 자명종을 끄더니 느릿느릿 일어나 침대에 걸터앉는 대머리 중년 남자, 독신인 듯하다. - 한숨을 한 번 내쉰 뒤 느릿느릿 침대에서 일어나서, 스탠드 불을 켜고, 화장실로 들어간다.

 

[둘째 장면] 화장실에서 면도를 하고, 부엌에서 커피를 만들고, 거실 탁자에 앉아 혼자 아침식사를 한다. 넥타이를 조여 매고, 현관 옆 옷걸이에 걸려 있는 가방과 양복윗도리, 그리고 열쇠꾸러미를 벗겨들고 집을 나선다.

 

[셋째 장면] 택시정류장에서 팔을 번쩍 들어 택시를 부른다. 주인공을 태우고 달리던 택시는 교차로에서 잠시 정지한 뒤 신호등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자 다시 달린다. 거리는 바쁘게 출근하는 사람들로 붐빈다.

 

[넷째 장면] 어느 빌딩의 자동문을 통과하여 안으로 들어간다. 엘리베이터를 탄다. 엘리베이터 안에는 세 사람이 타고 있다. 저마다 앞만 멀뚱멀뚱 쳐다볼 뿐, 서로 말이 없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린 주인공은 탈의실 옷장에 양복윗도리와 가방을 넣는다.

 

[다섯째 장면] 복도를 느릿느릿 걸어서 한 사무실 문 앞에 도착한다. 잠시 생각에 잠기는 듯하더니 문 앞에 길게 엎드린다. 잠시 후 다른 한 남자가 문 앞에 도착해서 주인공의 등 위에 올라선다. 열쇠로 사무실 문을 따고, 주인공의 와이셔츠 등짝에 구둣발을 쓱쓱 문지른 뒤 사무실 안으로 들어간다. 문이 닫히고, 주인공은 그대로 엎드려 있다.

 

애니메이션에는 말로 옮기기 쉽지 않은 요소가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반드시 유투브에서 동영상을 찾아보시기 바란다.) 영상에 등장하는 수많은 물건들이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맨 위에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편집자주]

 

첫 장면에 등장하는 자명종 시계부터 사람을 담고 있다. 숫자판에는 웃음을 함박 머금은 사람이 그려져 있고, 두 팔로 각각 73을 가리키고 있다. 얼핏 보면 눈에 띄지 않지만, 어둠 속에 묻혀 있는 침대 옆 꼬마탁자도 사람이 웅크리고 앉아 있는 모습이다.

 

물건이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인공이 침대에서 일어나서 스탠드 전등을 켜는 순간 확연하게 드러난다. 스탠드는 넥타이를 맨 남자가 얼굴을 가리는 큰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이다. 의자와 탁자도 사람이다. 두 남녀가 몸을 옆으로 맞대고 100미터 달리기 출발자세 비슷하게 구부리니 탁자가 되고, 한 남자가 팔꿈치와 무릎을 바닥에 대고 좀 더 낮게 엎드리니 의자가 된다. 주인공은 사람의자 위에 걸터앉아 아침식사를 한다.

 

이처럼 수많은 사람들이 물건의 모습을 한 채 주인공의 생활공간을 채워주고 있으니, 주인공은 실은 독신으로 살고 있는 것이 아닌 셈이다. 거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사람택시들이 사람들을 등에 업고 달린다. 빨간색 사람신호등이 외투자락을 닫는 순간 초록색 사람신호등이 외투자락을 열어젖힌다. 빌딩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러 사람이 어깨를 잇대어 서서 함께 좌우로 움직이면서 자동문으로 작동한다. 사람의 무게가 엘리베이터 추로 작동한다. 탈의실 옷장 문 뒷면에는 젊은 여자가 옷걸이로 달려 있다.

 

애니메이션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어쩐지 침울하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람물건 사이에는 한 마디 대화도 없다. 서로 눈인사도 교환하지 않는다. 사람이 움직일 때 나는 소리, 사람물건이 작동할 때 나는 소리가 효과음으로 이어질 뿐이다. 이런 동작소리와 기계소리가 실은 그들 사이의 대화라는 뜻일까? 아무튼, 사람이 물건 같고, 물건이 사람 같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서는 마침내 주인공이 물건으로 변한다.

 

<고용>은 이름 없는 아무개 씨의 밋밋한 일상생활의 모습을 담고 있다. 나의 모습일 수도 있고, 너의 모습일 수도 있다. 아무개 씨는 자명종 소리를 들으며 일어나서, 바쁘게 출근하고, 묵묵히 일한다. 아마 어제도 그랬고, 내일도 그럴 것이다. 어쩌면 평생 그럴 것이다.

 

자명종 소리와 함께 시작되는 <고용>은 잠자고 있던 시청자들의 의식을 흔들어 깨워서 요상한 세계로 끌고 간다. 그곳에서는 물건이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사람이 물건으로 작동하는 세계이다.

 

사람이 자명종이 되어 아무개 씨의 잠을 깨워준다. 사람이 거울이 되어 아무개 씨가 면도를 할 수 있도록 비쳐준다. 사람이 의자와 탁자가 되어 아무개 씨가 아침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람이 택시가 되어 아무개 씨를 출근시켜주고, 사람이 신호등이 되어 교통정리를 해준다. 모든 사람이 아무개 씨를 위하여 물건으로 되어준다. 옷걸이가 되어주는 사람도 있고, 엘리베이터가 되어주는 사람도 있다. 마침내 아무개 씨도 하나의 물건으로 된다. 사무실 문 앞에 놓여 있는 신발매트가 되어 다른 사람들의 신발 밑바닥을 닦아준다.

 

이처럼 <고용>은 사람이 물건으로 되고, 물건이 사람으로 되는 세상을 보여주고 있다. 내가 너에게 물건으로 되어주고, 네가 나에게 물건으로 되어주는 세상이다.

 

? 그럼 나도 물건이란 말인가? 내가?

 

<고용>은 잠자고 있던 시청자들의 의식을 요란한 자명종 소리로 깨워놓는다. 꿀잠을 도둑맞은 시청자들은 투덜거리면서 이런저런 의문에 사로잡힌다. 왜 대사나 설명이 한 마디도 없을까? 왜 분위기가 이처럼 우울할까? 왜 제목이 고용(El Emploe)’일까? 등등그러나 이런 질문들에 대하여 <고용>은 정답을 말해주지 않는다. 정답은 시청자들이 저마다 자문자담으로 찾아내면 된다. 시청자들이 저마다 나름대로 해석하여 작품에 담겨 있는 의미를 찾아내면 되는 것이다.

 

시청자들의 해석은 매우 다양해보인다. 우선 누리꾼들의 소박한 해석 몇 개만 살펴보자. 인간이 톱니바퀴의 하나돌아가고 있는 현실을 보면서 소름끼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자본의 지배물화(物化)’라는 어려운 개념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다. ‘취업난을 느낀다고 하는 사람은 아마 십중팔구 청년일 것이다.

 

이 작품은 우리가 차마 상상하지 못했던 사소한 것들에까지 자신의 몸을 내주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이른바 ‘취업난’에 허덕이고 있는 현 세대들의 고충을 잘 대변해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돈만 받을 수 있다면 체면을 떠나 뭐든지 할 것 같은 세상, 결코 원하는 미래는 아니지만 실제로 그런 세상이 혹여나 올까 걱정되는 마음은 있습니다. (Emcomint Basket)

결국 이 남자가 어딜 가는 걸까를 따라가다 보면어쩐지 한숨이 푹푹 나온다. 이렇게 노골적이진 않지만 우리는 다들 누군가를 위해 일하고 있지 않나? ‘나 자신보다 어딘가의 구성원으로, 커다란 집단적 목표를 향해 톱니바퀴의 하나로 돌아가고 있지 않나? 어쩐지 소름이 돋는 순간이다. (이파네마)

이 작품을 보면서 섬뜩했습니다. 이 작품은 결국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이군요. 자본이 결국 모든 것을 지배합니다. 자본력에 의해 노동이 움직이게 됩니다. 그래서 가족들 역시 가장의 자본력에 의해 돌아가고, 택시기사도 자본력에 의해 돌아갑니다. 그런 자본력으로 군림하던 가장(家長) 역시 회사에 가니 결국 사장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하나의 보조수단이 됩니다. 우리의 존재, 즉 인간이 하나의 인격이 아니라 돈의 가치, 화폐의 가치로 되는 것을 두고 물화(物化)라고 합니다. (애니큐어)

 

영화 전문가들의 전문적 해석도 누리꾼들의 소박한 해석을 크게 넘어서지는 않는 듯하다. 다만 노동의 매트릭스’, ‘연쇄와 위계’, ‘노동세계의 위계구조등등, 좀 더 세련된 말로 표현하고 있을 뿐이다.

 

익숙한 세상을 낯설게 보기. 우리의 숨 쉬듯 평온한 일상은 사실은 거대한 노동의 매트릭스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애니메이션은 그 거대한 연쇄와 위계를 함축하여 보여준다. (2012년 제17회 인천인권영화제)

노동의 세계에서 위계구조란 시작부터 존재해왔다. 이 애니메이션은 경제의 비뚤어진 논리를 아이러니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2012년 제17회 서울인권영화제)

 

매트릭스(matrix)’란 씨줄과 날줄로 얽혀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노동의 매트릭스란 사회구성원들이 노동을 통하여 서로 얽혀 있음을 뜻한다. 사회 안에서 우리는 다들 누군가를 위해서노동하고 있다. 나 자신이 사용할 물건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물건을 생산하기 위해서 노동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는 이런 여러 가지 노동으로 짜여 있는 거대한 매트릭스이며, 우리는 저마다 사회라는 거대한 톱니바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한 개의 톱니바퀴로 작동하고 있다.

 

사회구성원들의 노동은 앞뒤로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사슬처럼 이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연쇄), 위아래로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피라미드를 형성하고 있다 (위계). 노동의 매트릭스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자본이다. 가족들에게는 가장이 자본력으로 군림하지만, 그도 회사에 나가면 사장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하나의 보조수단으로 될 뿐이다. 이처럼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에서는 인간이 하나의 인격이 아니라 돈의 가치, 화폐의 가치되며, 그것을 물화(物化)”라고 한다.

 

나더러 나름대로 <고용>을 해석해보라고 한다면, 나도 앞서 인용한 누리꾼들 또는 영화전문가들과 비슷한 해석을 내놓을 것이다. “우리는 노동으로 연결되어 있다.”

 

 

<고용>은 모든 사람이 저마다 노동의 끈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든 사람이 저마다 다른 모든 사람과 노동을 주고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그림을 통하여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노동의 끈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고용>은 그것을 눈에 보이도록 만들어주고 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게 될 때 비로소 우리는 동물의 세계를 넘어서서 인간의 세계로 들어서게 된다. <고용>은 잠자고 있던 우리의 의식을 흔들어 깨워서 노동인간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보도록 자극한다. 눈을 뜨고 주위를 둘러보면, 우리의 삶은 타인의 노동으로 만들어진 물건들로 가득 차 있다. 방안에도, 집안에도, 거리에도, 회사건물에도타인의 노동생산물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나도 그렇다. 나는 철학 연구자이며, 철학 강사이다. 내가 일상적으로 하는 일은 연구자료를 뒤지고, 교안을 만들고, 학습모임을 진행하는 일뿐이다. 나는 농사도 짓지 않고, 목공 일도 하지 않으며, 컴퓨터를 만드는 일도 프로그램을 짜는 일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매일 밥과 채소를 먹고 있다. 누가 농사지은 것인지도 모르는 채. 매일 의자와 탁자를 사용하고 있다. 누가 만든 의자와 탁자인지도 모르는 채. 컴퓨터를 사용하여 일하고 있다. 누가 만든 컴퓨터인지, 누가 짠 프로그램인지도 모르는 채.

 

도대체 누가 나에게 이 의자와 탁자를 만들어주었을까?” 의자와 탁자를 사용할 때마다 나는 이렇게 물어보지 않는다. 우리는 너무 익숙한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의문을 품지 않는다. 끊임없이 숨을 쉬면서도 공기의 존재에 대하여 의문을 품지 않듯이. 의자와 탁자는 늘 여기에 있어 왔고, 나는 늘 이것들을 사용해 왔다.

 

의자와 탁자가 여기에 있다는 사실은 나에게 너무 익숙하다. 익숙하다 못해 자명하다. 그런 만큼 나는 목수의 노동을 잊어버린다. 목수의 노동이 없었더라면 내가 의자와 탁자를 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까먹고 지낸다. 그 결과 내 앞에는 의자와 탁자가 있을 뿐, 목수는 없다. 이것들은 물건일 뿐, 사람이 아니다.

 

잊어버리고 지내면 편한 것들이 많다. “모르는 게 약이라고 하지 않는가. <고용>은 요란한 자명종 소리를 내면서 우리를 불편하게 만든다. 우리가 잊고 지내는 것들을 다시 떠올리도록 만드는 것이다. 밥과 김치는 물건이기 전에 농부의 노동이라는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 의자와 탁자, 컴퓨터와 프로그램도 물건이기 전에 인간의 노동이었다. <고용>은 내가 밥과 김치 속에서 농부의 노동을 보도록 만들어주고, 의자와 탁자 속에서 목수의 노동을 느끼도록 만들어준다.

 

이처럼 물건과 서비스 속에서 인간과 노동을 보게 되면 우리는 불편해진다. 밥과 김치 속에서 농부의 땀을 느낀다면 먹다 남은 밥과 김치를 냉큼 쓰레기통에 쏟아버릴 수 있을까? 의자와 탁자 속에서 목수의 인생을 본다면 그것을 마음대로 망가뜨리거나 내다버릴 수 있을까?

 

보이지 않는 노동의 끈을 볼 수 있게 되는 순간부터 우리의 사회적 감수성이 달라질 것이다. 이어서 자연에 대한 감수성도 달라질 것이. 노동해방의 꿈은 이처럼 보이지 않는 끈을 보는 데서 시작한다. <고용>은 바로 그 끈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응노 作, 군상